[사진] 초보 탈출을 위한 플래쉬 촬영 방법

2012. 4. 29. 23:11NOTE/PHOTO



1. 플래쉬의 특징은?


구체적인 플래쉬 촬영 테크닉에 들어가기에 전에, 먼저 간과(!)하기 쉬운 플래쉬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플래쉬는 피사체를 정지시킨다.

플래쉬가 발광하는 시간은 매우 짧기 때문에 플래쉬 빛에 노출된 피사체는 마치 시간이 정지된 것처럼 사진에 표현됩니다.

슬로우 싱크로 촬영으로..  빛의 궤적을 그리며 달리는 자동차의 멋진 모습을 찍거나..(후막동조) 

B셔터를 열고 플래쉬를 발광하여 우유 방울의 '왕관현상'을 찍는 것이 좋은 예입니다.

물론 플래쉬의 '발광 지속 시간'이란 것을 알게되면 조금 머리 속이 복잡해집니다만.. 일반적인 환경에서 플래쉬의 발광 시간보다 빠른 피사체는 거의 없으므로.. 고려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총구에서 발사된 탄환 정도일까요...)


2) 색온도를 보정한다.

플래쉬의 색온도는 맑은 날의 태양광과 비슷한 5500K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때문에 색보정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플래쉬를 이용하면 거의 보정이 필요없는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운스 촬영을 하거나 플래쉬 발광부에 디퓨져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색온도가 약간 내려갑니다. 천장 바운스나 옴니바운스를 사용한 사진이 적정 노출임에도 불구하고 어딘지 모르게 노랗거나 붉게 보이는 이유는 이 때문입니다. 

(스튜디오의 조명도 소프트박스를 씌우면.. 직사에 비해 색온도가 약간 내려갑니다.)


3) 거리 제약을 많이 받는다.

지구상의 모든 인공 조명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급격히 어두워집니다.

거리가 두배 멀어지면 광량은 네배씩 줄어듭니다.

풀 발광만 가능한 소위 '멍텅구리' 플래쉬가 아니더라도..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플래쉬가 어느 거리까지 빛을 뿌려주는지 대충이라도 파악하고 있어야합니다. 물론 조리개와 연동해서 계산합니다.

아시다시피.. 가이드넘버 GN = 조리개 값 F * 거리 m 입니다.


4) 감도 높은 필름은 플래쉬의 가이드넘버를 올려준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감도가 높은 필름을 사용하면 플래쉬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가령 감도 100인 필름에서 가이드넘버가 36인 플래쉬가 있다면, 감도 200 필름을 장착했을 때 가이드넘버는 51정도가 되고.. 감도 400 필름에서는 무려 가이드넘버 72가 됩니다.

(필름 감도가 2배가 되면 루트2의 값인 1.414를 곱합니다.)


5) 플래쉬 촬영은 연사가 어렵다.

플래시는 배터리에서 보내진 전류를 일단 플래쉬 내부의 콘덴서에 저장했다가 발광 램프로 보내서 빛을 터뜨립니다.

그런데 이 콘덴서에 전류를 저장하는 시간이 제법(!) 걸립니다.

같은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한다는 전제하에 연사를 수월하게 하려면.. 

- 가급적 조리개를 열고 촬영한다.

- 기본적으로 광량이 높은 플래쉬를 사용한다.

- 감도가 높은 필름을 장착한다.

- 플래쉬 충전에 유리한 니켈 카드뮴 배터리를 사용한다.

- 플래쉬용의 외장 배터리팩을 장착한다.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6) 플래쉬도 노출 보정이 필요하다.

플래쉬의 센서도 카메라의 노출계와 마찬가지로 사물을 18% 반사율로만 인식합니다. 따라서 흰 피사체는 + 보정, 검정색 피사체는 - 보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저의 경험에 의하면.. 카메라 바디의 보정보다 훨씬 어렵습니다.)

자세한 플래쉬 보정 내용은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7) 가이드넘버를 믿으면 안된다(?)

조금 뜻밖의 이야기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제조사를 막론하고 플래쉬에 표기된 가이드넘버와 일치하게 실제 광량이 나오는 플래쉬는 거의 없습니다. 보통은 표기된 가이드넘버보다 약간 부족한 광량이 나옵니다. 

신품의 경우도 그렇고.. 특히 많이 사용한 플래쉬는 더욱 그렇습니다.

한가지 더 말씀드리면.. 플래쉬에 있는 '충전 완료 램프'를 믿으시면 안됩니다.

플래쉬 제조사에서는 플래쉬 충전 시간이 조금이라도 빠른 것처럼 보이기 위해서 '만충전'의 90% 근처에서 완충 램프가 켜지도록 제작합니다. 따라서 풀 발광이 필요한 촬영에서는 램프에 불이 들어오고 나서 좀 더 기다렸다가 플래쉬를 터뜨리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풀 발광이 아닌 촬영은 기다릴 필요가 없지요.



2. 플래쉬를 사용하는 실내 촬영방법


주로 초보 사진가들께서 경험하는 사건(?)들을 중심으로 항목을 나누어 기술하겠습니다.


1) '동굴 사진'을 피할 방법은?


실내 플래쉬 촬영에서 배경은 새까맣고 인물의 얼굴만 새하얗게 나온, 소위 '동굴 사진'은 아마 초보분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경험했을 사진입니다.

원인은 셔터속도가 적정 노출에 비해 많이 빠르고.. 인물과 배경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플래쉬의 광선이 뒤의 배경까지 미치지 못해서입니다. 앞서 알아본 것처럼 플래쉬의 광량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급격히 줄어듭니다.

'동굴 사진'을 극복할 해결책은 여러가지입니다.


i) 감도 높은 필름을 사용하면 됩니다. '동굴 사진'이 나온 것은 아마 카메라가 완전 자동 컴팩트 카메라이거나.. SLR 이라 해도 P 모드에서 촬영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경우에는 감도 200이나 400 정도의 필름을 사용하는것 만으로 훨씬 뒷배경이 살아난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사진의 입자가 굵은 것은 감수해야만 합니다.


ii) 많이 어두운 실내라면.. 아예 '야경 모드'에 놓고 플래쉬 촬영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AF 바디에 해당하는 이야기지만.. 수동 바디로도 똑같이 흉내낼 수 있습니다.

단, 플래쉬는 -1 보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이 방법은 플래쉬가 주조명이 아닙니다)

실내의 전체 적정 노출에 맞추어 셔터가 열리기 때문에 배경이 모두 살고.. 인물은 플래쉬 광선으로 인해 약간 오버되어 돋보이게 됩니다. 

또한 이 방법으로 촬영한 사진은 인물의 얼굴에 실내 조명색이 섞이게 됩니다.

형광등이 있는 일반 가정집 실내라면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지만.. 

조명이 멋진 카페라면 꽤 분위기 있는 사진이 나옵니다.


iii) 위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가급적 빠른 동조 속도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니콘의 FM2 는 수동 바디임에도 불구하고 플래쉬 동조 속도가 1/250 이나 됩니다. 그러나 여기에 맞추어 실내 플래쉬 촬영에 임하면.. 거의 100% '동굴 사진'이 나옵니다. (실내가 넓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조명의 밝기에 따라 가감이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실내 플래쉬 촬영에는 대개 1/30 내외의 셔터속도가 적당합니다. 아주 밝은 실내라 해도 1/60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엄밀하게 이야기하면.. 1/250으로 촬영한 사진이야말로 피사체에 적정 노출인 사진이 되겠지만.. 

예식장이나, 교회, 강당같은 넓은 실내에서 배경을 살리려면 어쩔 수 없습니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1/100 이상의 동조 속도는 주간 플래쉬 촬영을 위한 것이라 생각해도 거의 틀린 말은 아닙니다.)


iv) 조리개가 개방에 가까울수록 배경이 살아납니다. 

실내에서 플래쉬를 사용하여 조리개를 1.4와 16에 놓고 촬영한 사진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물론 조리개는 동조 속도 1/60에 고정입니다.

조리개를 1.4에 맞춘 사진은 플래쉬가 발광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필름에 노광이 됩니다. 그러나 16으로 조인 사진은 거의 깜깜일 것입니다. 

실내가 대단히 어둡다면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지만.. 보통 일반 가정집의 형광등 아래 노출은 F 1.4에 셔터속도 1/30 내외입니다.


v) 바운스 촬영도 효과가 있습니다. 천장이나 벽을 이용한 바운스, 옴니바운스, 뤼미퀘스트같은 바운스판 등은 모두 '동굴 사진' 극복에 도움을 줍니다.

뒷배경이 많이 멀어질수록 효과는 떨어집니다만.. 플래쉬 직사광보다는 낫습니다.


vi) 인물과 플래쉬와의 거리를 멀리하는 것도 해결책이 됩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뒷배경과 인물이 가까워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플래쉬를 터뜨렸을 때 배경과 인물의 노출 차이가 줄어듭니다. 물론 이 방법은 플래쉬의 광량이 충분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습니다.



2) 자연스런 얼굴색을 얻으려면?


플래쉬와 인물의 거리가 가까우면 아무래도 얼굴이 번들거리게 마련입니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i) 뭐니뭐니해도 가장 확실한 해결책은 인물의 얼굴에 메이크업(!)을 하는 것입니다. 메이크업 베이스와 파우더 정도만 발라도 번들거림은 없어집니다. 

(단, 촬영 대상에 따라 시도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아버님께 넌지시 권해드렸다가 핀잔과 꾸중만 들었습니다.)


ii) 플래쉬와 인물의 거리가 가까워서 번들거림이 생긴다면.. 플래쉬를 인물에게서 멀리 떨어뜨려 놓는 것도 한 방법일 것입니다. 인물과 멀리 떨어져서 망원렌즈로 촬영해도 되고.. 플래쉬를 바디에서 분리시켜 유-무선 동조를 해도 됩니다.(이건 좀 고급 테크닉인가요?)


iii) 얼굴 번들거림을 피하기 위해 아마도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플래쉬 발광 램프를 반투명 디퓨져로 살짝 가리거나(티슈같은 것으로 대용 가능)... 아니면 바운스 촬영이라고 생각합니다. 

'NOTE > PHO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위대한 사진가 - 로버트 카파  (0) 2012.04.29
[사진]용어 정리  (0) 2012.04.29
[사진] 20세기 사진사 간략 연대표  (0) 2012.04.29
[사진]20세기 사진사 연대표  (0) 2012.04.29
[사진]칼라 필름 특징  (0) 2012.04.29